
[1] 사내아이가 태어났음을 말한다. ◀◀
[2] 콩 태太자를 의성어 ‘콩[쿵]’ 으로 사용했다. ◀◀
[3] 산의 뼈는 바위를 말한다. 옛 사람들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고 믿었다. ◀◀
[4] Kain can be translated as wife or family members. ◀◀
[5] 제목인 ‘귀락당’을 거꾸로 읽으면 ‘당낙귀(당나귀)’가 된다. ◀◀
[6] ‘소 축丑’자에 꼬리를 붙이면 윤尹이 된다. ◀◀
[7] 수리愁裡를 풀이하면 ‘근심 속에’라는 뜻이지만, 음으로는 ‘수리’, 즉 단오를 뜻한다. ◀◀
[8] 가외可畏는 ‘두려워할 만하다’는 뜻이나 음으로는 ‘가외’, 즉 한가위를 암시한다. ◀◀
[9] 곡식을 먹지 않고 솔잎이나 열매를 먹는 양생법. ◀◀
[10] 『맹자』에 나오는 오능於陵 땅의 진중자陳仲子는 지나치게 청렴하여 굶어 죽을 번했다. ◀◀
[11] 이응수의 해설에 따라 談을 ‘담대할 담膽’으로 해석했다. ◀◀
[12] 이응수 본에는 天台로 되어 있다. ◀◀
[13] 자루가 국자보다 짧은 기구. 베틀에 앉은 여인의 옆모습을 구기 모양에 빗댔다. ◀◀
[14] 양생법을 적은 도가道家의 책. ◀◀